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식중독 예방


📰 여름철, 식중독 환자 급증

기온이 25℃ 이상으로 오르고 습도가 높아지는 6월~9월은 세균과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입니다.
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매년 여름철 식중독 환자가 급증하며, 가정과 외식 모두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.


📌 식중독 주요 원인

  • 덜 익힌 고기·생선
  • 상온에서 오래 보관한 음식
  • 오염된 조리도구 사용
  • 손 위생 불량
  • 해산물 섭취 시 비위생적 보관

🔍 식중독 증상

  증상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발현 시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특징

구토 1~6시간 내 음식 섭취 직후 빠르게 발생
설사 6~48시간 수분 손실 심함
복통 다양한 시간대 미생물 종류에 따라 차이
발열 일부 발생 세균·바이러스 감염 시 동반

💡 여름철 식중독 예방 7가지 수칙

  1. 손 씻기 생활화
    • 조리 전·후, 식사 전, 외출 후 30초 이상 손 씻기
    • 흐르는 물과 비누 사용 필수
  2. 음식 충분히 익히기
    • 고기·생선·달걀은 중심온도 75℃ 이상
    • 특히 닭고기는 분홍색이 남지 않게 조리
  3. 남은 음식 빠른 냉장 보관
    • 조리 후 2시간 이내 냉장 보관
    • 냉장고 온도는 5℃ 이하 유지
  4. 칼·도마 구분 사용
    • 생고기·생선용과 채소·과일용 도마는 별도 사용
    • 사용 후 뜨거운 물과 세제로 세척
  5. 해산물 위생 관리
    • 날로 먹는 해산물은 신선도 확인
    • 수돗물로 깨끗이 세척 후 섭취
  6. 정수기·물통 청소 주기 준수
    • 여름철 2주에 한 번 청소
    • 미생물 번식 방지
  7. 외식 시 위생 등급 확인
    • 식약처 ‘음식점 위생등급제’ 마크 확인
    • 직원의 위생 상태 체크

🛠 식중독 의심 시 대처 방법

  • 수분과 전해질 보충 (이온음료·보리차)
  • 증상이 심하거나 24시간 이상 지속되면 즉시 병원 진료
  • 자가 치료로 버티다 악화될 수 있으니 조기 대처가 중요

📌 정리

여름철 식중독은 생활 습관 관리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.
음식 보관, 조리 위생, 손 씻기만 지켜도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니, 이번 여름은 위생 관리로 건강한 식탁을 만들어보세요.


참고: 이 글은 질병관리청,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된 생활정보입니다.


식중독 예방법
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8   »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글 보관함